연구노트

파견생활

[인재양성사업 파견생활_MIT_김태민] 2025년 10월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KAIST 조회24회 작성일 25-11-02 05:23

본문

[인재양성사업 파견생활_MIT_김태민] 202510

 

안녕하세요. MIT 기계공학과의 존 하트 교수님 연구실로 파견을 나오게 된 카이스트 김태민 박사과정입니다. 10월이 벌써 지나가다니 시간이 너무 빠르게 흘러가고 있습니다. 사실 이제 미국에 온 지 2달 반 정도가 되었는데 해당 기간 동안에는 적응을 해야 할 것도 많았고 수많은 시행 착오를 겪으며 연구를 발전시키다 보니 10월 말 정도가 되어서야 제대로 적응하고 연구 고도화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 

MIT에는 Initiative for New Manufacturing(INM)이라는 단체가 있습니다. 해당 단체는 학계와 기업이 함께하는 미국의 제조업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고민하는 컨소시엄입니다. 존 하트 교수님께서 단체장 중 한 분이셔서 이번에 Anduril이라는 미국 방산 기업의 제조 부문장을 초청하여 MIT 내에서 세미나를 하였습니다. 미국이 바라보는 고부가 가치의 제조업을 미국에 가져오려 하는 방법 및 방산의 미래 기술 개발 및 생산을 위한 공장과 R&D 장비에 투자하는 방법 등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. 학계와 대형 기업의 리더들이 생각하는 미래를 들으며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.

91b2b2621be04d7466be75fdc2e39f59_1762028534_032.jpg
 

 한국과학창의재단의 글로벌 탤런트라는 간담회에도 참석하였습니다. 해당 행사에서는 한국의 학계와 정부 분들께서 계획하시는 한국의 연구 발전 방향에 대해 들을 수 있었습니다. 한국의 연구자들을 위해 좋은 기회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고 생각되어 기쁘게 여러 이야기들을 들었습니다. 특히, 저녁 식사를 과기부 차관님, 카이스트 교무처장님, MGH 교수님 및 여러 현지 대학원생 및 포닥분들과 하였는데 서로 많은 유익한 이야기를 할 수 있어서 즐거웠습니다. 

 91b2b2621be04d7466be75fdc2e39f59_1762028546_2443.jpg

10월에 꼭 진행해보고 싶었던 실험이 몇 주간의 시행 착오와 계획을 지나 10월 말 정도에 첫 성공을 하는 즐거움도 있었습니다. 머리카락 굵기의 시편을 소중히 다르며 초조하게 실험하였는데 예상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. 앞으로 몇 번 더 반복 실험을 진행하여 실험 결과의 신빙성을 증빙하고 이론 값과 비교를 해 볼 계획입니다.

 91b2b2621be04d7466be75fdc2e39f59_1762028567_0222.jpg

마지막 사진은 MIT에 전시되어 있는 거북선입니다. MIT에 작은 미해군 박물관이 있는데 전세계의 여러 주요 군함 중 거북선이 당당하게 전시되어 있는 모습을 보고 뿌듯하였습니다. 제 연구도 거북선처럼 언젠가 한국을 자랑스럽게 하면 좋겠습니다.

 91b2b2621be04d7466be75fdc2e39f59_1762028579_5483.jpg

다시 한 번 좋은 파견 기회를 주신 동국대 그리고 카이스트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리고 한국의 김산하 교수님과 미국의 존 하트 지도교수님과 함께 좋은 결과를 만들어보겠습니다.


04620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 동국대학교 AI-핵심소재 기반 첨단산업 지능형 로봇 글로벌인재양성사업단 | 교육연구팀 담당자 송진우 | e-mail : jwsong0620@dgu.edu
Copyright© 2021 BK21 FOUR Advanced Materials Based Smart Factory Fostering Global Talents for Innovative Growth Program

×